교육 분야에서 기술의 역할은 오랫동안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기술은 지식을 민주화할 것인가, 선택된 소수가 정보를 통제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협할 것인가? 기술은 무한한 기회를 제공할 것인가, 돌이킬 수 없이 기술에 종속되는 미래로 이끌 것인가? 기술은 공평한 경쟁의 장을 제공할 것인가, 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인가? 기술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어야 할 것인가, 아이들의 발달에 위험 요소가 될 것인가? 이러한 논쟁은 코로나19로 인한 휴교와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더욱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개발자가 의사결정권자보다 한 발 앞서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육 기술에 대한 연구는 복잡하다. 강력하고 공정한 증거가 부족하다. 사회는 기술을 해결책으로서 선택하기 전에 교육에 대해 올바른 질문을 던지고 있는가? 사회는 기술이 가져다줄 이익을 모색하는 동시에 기술의 위험을 인식하고 있는가
정보통신기술은 소외된 학습자에게 다가가고 더 많은 지식을 매력적이고 저렴한 포맷으로 보급한다는 측면에서 형평성과 포용성을 뒷받침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 특정한 상황과 일부 학습 유형에서 기술은 교수 및 학습의 기초 역량을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든 디지털 역량은 기초 역량 패키지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은 관리를 지원하고 효율성을 높여 더 많은 양의 교육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시에 기술은 완전히 해롭지는 않더라도 일부를 배제하거나 일부에게 부적절하거나 부담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모두를 위한 교육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보장하고, 학습자를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술 사용을 규제하고 교사들을 준비시켜야 한다.
본 보고서는 적절하고 공평하며 측정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증거를 바탕으로 기술을 교육에 도입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기술 사용은 학습자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해야 하며, 교사와의 대면적 상호작용을 보완해야 한다. 기술은 이러한 조건에 따라 사용되는 도구로 인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