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김광수)은 17일 지난해 9월 3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한 ‘202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설문은 도내 초·중·고 학생, 교직원, 보호자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생 2722명, 교직원 595명, 보호자 1009명이...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이 학생들의 국제화 역량을 강화하고 세계시민의식을 갖춘 글로벌 리더로 키우기 위해 올해도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를 운영한다.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는 지난해 16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돼 500여 명의 학생들이...
2024년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을 마무리하는 쌤컨퍼런스(SSAEM Conference)가 11월 21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최하고 아태교육원이 주관하는 본 교육교류사업의 성과를 돌아보고 추후...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은 지난 11월 1일 “아태지역 세계시민교육의 혁신적 접근법: 이론과 실천의 대화”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하였다. 웨비나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전문가들은 지역적 관점과 맥락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재구상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웨비나는...
기후붕괴를 막고 사회적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 기후에 미치는 재앙적인 영향을 밝히고, 인류와 지구를 보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이행할 것을 제언한다. ‘슈퍼리치’로...
본고는 분단국가 키프로스가 분단의 역사적 상흔을 치유하면서 미래지향적 인 평화공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평화교육을 지향하며 실천하고 있는지를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탐구한 결과이다. 한반도 분단과 달리 이념과 체제 기반의 분단이라기보다는 인종적, 종교문화적...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과 지리’가고등학교 지리 일반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 간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의 이해도, 학교 현장에서의 교수...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을 실행하는 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을 1년 이상 실행하고 있는 현장 경력 5년 이상의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면담 전사 자료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