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제11차 청년 리더십 워크숍, 인도 뉴델리에서 실시

 

마음을 움직이고, 평화를 세우다: 세계시민교육과 사회정서학습을 통한 지속 가능한 변화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APCEIU)과 유네스코 마하트마 간디 지속가능발전 및 평화교육연구소(MGIEP)가 공동 주최하고 유스 네트워크가 협력한 제11차 유스 리더십 워크숍이 2025년 4월 17일 인도 뉴델리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마음을 움직이고, 평화를 세우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워크숍은 전 세계에서 모인 32명의 청년 리더들이 세계시민교육(GCED)과 사회·정서학습(SEL)에 기반한 변화의 여정을 함께하며, 4일간의 깊이 있는 학습과 교류, 실천 계획 수립의 시간을 가졌다.
2025년 4월 14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이번 워크숍은 공감, 회복탄력성, 포용적 리더십을 기르는 역동적인 플랫폼으로서, 세계시민교육과 사회정서학습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청년들이 사회 변화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세계시민교육과 사회정서학습의 통합: 주요 세션 소개

 

첫날은 “청년 리더를 위한 세계시민교육과 사회정서학습” 세션으로 시작되었다. 이 세션은 평화 구축, 기후 정의, 성평등, 미디어 리터러시 등 다양한 세계시민교육의 이슈에 대한 참가자들 내면의 감정적 장벽을 인식하고, 사회.정서학습의 역량을 활용하여 이러한 감정적 장벽을 공감과 회복탄력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익혔다.

 

 

이어 진행된 “유네스코 2023 권고 이해하기” 세션에서는 Faryal Khan의 진행 하에 어항(Fishbowl) 형식의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유네스코의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사회정서학습 가이드라인이 지역 사회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를 함께 탐색하였다. 첫날 마지막으로 열린 “청년 리더십 혁신 랩”에서는 기존의 리더십 개념을 재해석하며, 각자의 고유한 리더십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리더 실루엣’을 함께 제작하는 창의적인 활동이 이어졌다.

 

 

둘째 날에는 “자신을 탐색하기” 세션을 통해 감정 인식과 조절 전략을 배우며, 감정의 흐름과 자신의 내면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하는 시간이 주어졌다. 이어 열린 “청년 주도 사례 공유” 세션에서는 활발하게 활동하는 몇몇 청년들의 현장 사례가 갤러리 워크 형식으로 소개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영감을 얻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하였다. 

 

 

셋째 날에는 “유머를 통한 사회변화와 옹호” 세션으로 분위기가 한층 활기차게 전환되었다. 하하(HAHA) 프레임워크를 통해 유머가 어떻게 사회적 서사를 바꾸고 변화를 촉진하는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 후, 참가자들은 직접 글로벌 이슈를 다룬 밈(meme)을 제작해보며 실습하였다. 이어진 “참여적 변화 설계” 세션에서는 지역사회 참여 전략과 실행 가능성을 중심으로 실제 문제 해결 활동이 이루어졌고, “세상을 탐색하기” 세션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공감과 연민이 어떻게 인간의 연대감을 높이는지를 성찰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마지막 날에는 “변화를 위한 실행 계획 수립” 세션을 통해 워크숍에서의 배움을 지역사회 프로젝트로 실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였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프로젝트를 3분간 발표하며 서로의 비전을 공유하였고, 이후 “마음 챙김” 세션에서 ‘나처럼’ 명상 활동을 통해 집단 내 정서적 유대를 되새기며 워크숍의 여정을 마무리하였다.


이번 워크숍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과 유네스코 마하트마 간디 지속가능발전 및 평화교육연구소 간 협력을 심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세계시민교육과 사회정서학습이라는 두 핵심 개념을 통합적으로 접근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공동체를 바라보며, 보다 평화롭고 포용적인 세계를 위한 청년 리더로서의 비전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이제 각자의 나라로 돌아간 이들은 세계시민으로서의 깊은 이해와 함께, 공감, 포용, 그리고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위한 실천 의지를 품고 새로운 여정을 이어갈 것이다.

 

 

행사 사진 보기

 

URL: https://www.unescoapceiu.org/post/5324